Data: 사회의 부산물, 하이퍼오브젝트의 부산물, 우리가 살고 있는 곳의 Complexitiy를 대변해서 이 Complexitiy와 복합적 역학 상관관계를 쥐어짜서 나온 결과물이 데이터. 이 데이터는 어느 정도 자연적이고, 어느 정도 인공적이다. 때때로는 리니어하게 증가하지만, 블랙스완에 의해예상치 못하게 가변된다. 어느 정도는 정돈되고, 어느 정도는 무작위적이다.
그렇기에 데이터야 말로 가장 컨템포러리한 대상이고, 모더니티의 복잡하고 다층적인 측면을 보여주는, 현대 사회의 산 증인이다.
그동안의 Data Visualisation: 대체로 Explicitly 이러한 데이터를 오디오-비주얼화 하고 있다고 대놓고 쓰고 있었지만, 이는 청중에게 Information을 전달 할 수는 있지만 Emotion을 전달하거나 이 데이터가 만들어놓은 결과물에 순전하게 집중하는데ㅇ는 방해를 할 수 있따… 사람들이 Semantics과 마주하면 그것을 있는 그 자체로 관조/즐기기 보다는 해석하려 들려는 경향성…
나의 목표: 사람들이 이 데이터의 다층적인 구조를 시청각적으로/직관적으로 감각할 수 있도록. 이해보다 감각이 선행하도록…. Climate Data for example —> Accelerated Tension, Accelerated Rhyhtm을 통해 뭔가 심상치 않은 멜로디가 전개되고 있음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어떠한 사전 컨텍스트 없이…. 예술을 즐기고 난 이후 그 컨텍스트를 알 수 있도록. 이것이 동시대를 감각하는 가장 예술적인 방식 아니겠는가?
Implicit Data Visualisation → Data-Emotionalisation. Experiencing Through Data, Communicating with the Audio-Visual Result of the Data, not the Context of the Data itself.
Data Emotionalisation!
Data Visualisation 뿐만 아니라 Data Temporalisation/Data Rhythimification 또한 필요한 이유…
Application 1: Rise & Fall. Rise & Fall Interactive Video-based artwork, people scan the QR and Video WebRTC real-time propagated to TouchDesigner, The face’s position & area span & emotion changes accordingly to the data → If the face becomes economically wealthier it attains more space → Showing the Rise & Fall of one’s life. This graph of rise & fall can use real-company’s stock price data & revenue data…
Text written by Jeanyoon Choi
Ⓒ Jeanyoon Choi,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