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anyoon Choi

← Back to all posts

Dis-entanglement and Entanglement

Updated: 9/25/2024

Disentanglement was the ideology of the previous century/world we reside in
너는 이것을 해라, 나는 이것을 할테니. 각자 잘하는 것을 하다 보면 더 효율적으로 전체의 부가 늘어나지 않겠는가.
분업의 ideology, based on disentanglement: Belief that disentangled roles & responsibilites, optimisation in each section, will lead to the optimisation of the whole: As the optimisation of a certain factor will not effect others but solely positively impact its own factor. 
This ideology of disentanglement applied to every part of our daily lives: 서비스업을 예로 들자면, 고객은 직원이 잘못했을 경우 윽박지를 수 있다. 왜냐면 직원은 그 자신의 전문분야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여기서 고객의 역할은 사람과 사람간의 유대적 연대라기 보다는 돈을 지불한 서비스 받는 사람으로써 절대 갑. 현대 한국 사회에서 수많은 소송이 발생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조금 여유를 가지고 서로 배려해주면 해결될 문제를 서로의 잣대 (Disentangled Goal) 만의 절대적 optimisation을 맹목적으로 선호했기 때문…
The most powerful statement of the Disentanglement ideology: 기업의 사회적 역할은 이윤을 Maximise 하는 데에 있다. (그 외에는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Disentanglement worked in a relatively simple world, back in the 20th Century.
Now we’re acknowledging that it’s no longer functioning, in the 21st century we’re living in…
The world got so complex, that there is possibly no purely disentangled factor. Affecting one part of the system should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 the another…
Therefore, Disentanglement system it’s just a 심리적 위안, 이야기짓기의 오류 - 카네만, 복잡한 세상을 단순하게 이해할 수 있다는 사고적 오류. 이러한 심리적 위안에 입각한 심플한 시스템을 채택한다면 단기적으로는 그 위안에 안주할 수 있겠지만, 장기적으로는 예상치 못하는 시스템의 부분에서 부작용이 발생하게 된다…
Modern contemporary system’s 보상구조 still based on disentanglement… And this disentanglement seems like even accelerating… maybe there is a psychological feedback loop here… 
더 이상 기존의 Disentanglement가 Functioning 하지 않음 → 사람들이 더 많이 Disentanglement를 원함, Partly 조급함, Partly 불안함, Partly Disentanglement System에 대한 신봉 → Disentanglement가 더욱더 Functioning 하지 않음
One of the most severe problem is that the disentanglement system is easy to calculate, thus easier to grant a reward to the system’s player - Especially in the short term, it seems like this reward system is functioning. However, its long-term negative side effects are hidden (Lack of skin in the game) so nobody really takes the risk of the system being highly disentangled.
It is human psychology & myopic system’s drawback to prefer disentanglement over entanglement. But paradoxically, as more as we disentangle the system, the system appears to be even more entangled in the long-term.
이런거 수학적으로 심플하게 모델링 할 수 있지 않을까? 그리고 이런 모델 시뮬레이션을 바탕으로 Multi-Agents 가 공존하는 하나의 Multi-Device Web Artwork 시스템을 만드는거지… (Each device as an agent/system player, and inter-device - inter-agent relationship roughly defined based on the simulation)
Optimisation of the part no longer induecs the opimisation of the whole.


Text written by Jeanyoon Choi

Ⓒ Jeanyoon Choi,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