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LM 이용 증가로 인해 Traditional User Interface/Human-Computer Interaction Methodology 에 굉장히 중요한 Major Change가 있을 것이다. In short, the transition from GUI (Graphic User Interface) to LUI (Language User Interface)
Traditionally we communicated in language. (With Computer) Language-based Communication의 한계 → User Interface의 등장, Human Computer Interaction에서 Human 과 Computer 간이 매개의 통로. 그래피컬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따라서 중요해짐 (우리는 그러나 이러한 GUI에도 불구하고 사람과 사람 간에 소통할때 여전히 특정 비중에 대해서는 카카오톡/인스타 DM등 채팅을 기반으로 한다. 이러한 채팅 + 인스타와 같은 비주얼 컬쳐 dominate)
이것이 GPT등 강력한 LLM 등장하기 이전의 스토리. 그러나 LLM의 발전으로 인해 Human-Computer간 Language 소통시 Communication Mismatch가 더이상 일어나지 않게 된다. 오히려 자연어가 기존의 그래픽/레이아웃 기반 인터페이스보다 더 자연스러운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줌.
따라서 이는 GUI의 종말, GUI의 순차적 LUI으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이는 굉장히 자연스러운 트렌드이다. 마치 마우스라는 비직관적인 Human-Computer Interaction Input Method가 애플의 혁신적인 터치 인터페이스 등장 이후 터치로 바로 대체되었듯 → 이는 터치가 마우스에 비해 보다 인간에게 직관적이기 때문. 마찬가지로 언어가 그래픽 인터페이스보다 많은 경우 더 직관적일 것임. 알렉사/시리 등 초기 LLM 기반 채팅 비서들은 이러한 LUI의 중요성을 이해했기 때문에 가능했던 투자들.
따라서 Creative Art/Design Software 컨텍스트에서도 TouchDesigner등 No-Code(No-Language) Node-based tool 이 비교적 쉬운 러닝 커브로 인기를 끌었었지만, 앞으로는 코드를 GPT를 이용해 생성하는게 더욱 쉬울 것이기 때문에 직접 코드를 짜는것/Language-based Code를 대량으로 생산하는 것이 더욱 쉬워지고 선호되는 방법으로 트렌드가 역전될 수 있다. 이것도 옜날 하드 코딩 → GUI/Node-based UI → 다시 하드 코딩으로 돌아오게 되는 역설적 구조 가진다.
Text written by Jeanyoon Choi
Ⓒ Jeanyoon Choi, 2025